고성 왕곡마을 고성왕곡마을(중요민속자료235호) (양근함씨,강능최씨,용궁김씨 집성촌) 1.19세기 민가와 북방식 전통가옥들이 배치되어있다 2. 가옥구조 -. 안방,사랑방,마루,부엌(부엌에 외양간이 있음)이 있는 겹집(양통집) 구조이다. 양통집은"田"자 평면구조가 많으나 특이하게"ㄱ"자형 평면이 많다. .. ****전통주거 건축****/고성 왕곡마을 2012.09.12
아산 외암마을 예안이씨 집성촌 외암마을 1.배치개요 마을 동북쪽엔 주산인 설화산이있고 서남쪽의 봉수산을 잇는 축선에 일정 영역을 만들어 그영역안에 집들이 배치되어 있다. 즉 주변의 산세 남측의 농토 마을앞을 흐르는 물등이 잘어우러진 마을이다 마을밖의 외부공간과 마을안의 내부공간으로 .. ****전통주거 건축****/아산 외암마을 2012.09.12
경북 성주 한개마을 성주 한개마을(조선의 중반촌) 중요민속자료 제255호 1.한개마을은 성산이씨 집성촌으로 세종때 진주목사를 지낸 "이우"가 터를 잡은후 월봉공 이정현 후손들의 집성촌이다. 2.마을의 배치 -.마을뒷산은 영치산이고 마을앞 동남쪽엔 백천이 흐르며 정남쪽엔 안산이 자리 하며 전형적인 좌.. ****전통주거 건축****/성주한개마을 2012.09.12
[스크랩] 전남한옥표준설계도면-주택30평형A 전남한옥표준설계도면-주택30평형A 평면도 -------------------------------------------------------------------------- -------------------------------------------------------------------------------------- -------------------------------------------------------------------------- -------------------------------------------------------------------------------------.. ****전통주거 건축****/한국전통주거 건축 2012.08.20
고려말~조선시대 우리의 주택은? 1. 온돌의 변천 온돌은 북쪽추운지방은 11C경부터이나 12C까지는 입식생활이었 다한다. 중부지방은 13C, 남부지방은 14C 부터 온돌이 확산되었다. 한국에서 가장오래된 살림집으로는 충남 아산의 맹씨 행단이 있다 지붕구조가 고려말~조선초의 특징으로 고려말에 마루와 온돌이 한지붕아래 .. ****전통주거 건축****/조선시대의 주택 2012.08.07
경주양동(여강이씨와 달성손씨) 마을 경주 양동마을 조선중기(16C)의 주택건축 . 도성에서는 가사제한을 어긴 대규모집들이 건립된다. 왕자나공주,옹주왕실의 인척들이 임진왜란이전에 호화주택을 짓기시작한다. . 지방에서도 지주층의 출현(경북선산,안동,충청,호남) 안동하회마을(풍산유씨가문),경주양동마을(달성손씨가.. ****전통주거 건축****/한국최대반촌 경주양동마을 2012.07.30
양진당 과 충효당 "안동 하회마을 탐방" 양진당(보물306호),충효당(보물414호) 안동하회마을의 입지는 조선시대 이중환의 택리지 복거총론에서 명당은 1.지리가 좋아야하고, 2.아름다운 산수가 있어야하고 3.인심이 좋아야 한다고 한다... 하회마을은 위3가지를 충족시킨 천하제일의 명당이라한다. 풍수지리.. ****전통주거 건축****/안동 하회마을 2012.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