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성***/수원 화성읍성 팔달문,화서문

팔달문(보물402),화서문(보물403)

인생은소풍.... 2012. 7. 11. 09:00

 

 

 

 

 

 

 

    수원화성 팔달문(보물402호),

    화서문(보물403호)

 

 

 

1997년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화성전도

 

수원화성 시설물 위치도

 

 

 

         . 화성의 시설개요

 

 . 축성계획~1794(정조17년)~1796 9월 까지 축성

 . 공사책임자: 74세 체제공 + 31세 정약용

 . 성벽:외축하고 내탁 즉 외측성벽을 쌓고 내측은 자연지세를 이용,흙으로 채움

 . 벽돌과 석재를 혼용한 축성방식

 . 성의형태는 평산성에 해당된다.

 . 성벽(체성)은 규형 방식을 도입해서 성벽무너짐을 방지하였다.

 . 축성의 의의

    1.과학적 축성방식의 의의

    2.도시계획적의의

    3.민본주의적 의의

 

 . 시설개요

    . 문루4개소~팔달문(남문),장안문(북문),화서문(서문).창룡문(동문)

    . 암문5개소~남암문,동암문,북암문,서암문,서남암문

    . 수문2개소~화홍문,남수문

    . 적대4개소~북문(장안문)의 동,서 적대와 남문(팔달문)의 동,서 적대

    . 노 대      ~ 서노대 , 동북노대

    . 공심돈 ~ 3개소(서북공심돈,남공심돈,동북공심돈

    . 봉 돈 ~ 봉화올리는곳으로 1개소

    . 치성8개소 ~ 동북치,서1치,서2치,서3치,남치,동3치,동2치,동1치,

    . 포루 5개소(대포설치) ~ 동북포루,북서포루,서포루,남포루,동포루

    . 포루(군사가 머므는곳)~동북포루,북동포루,서포루,동2포루,동1포루

    . 장 대(군사지휘소)2개소 ~ 서장대,동장대

    . 각루4개소 ~ 동북각루,서북각루,서남각루,동남각루

    . 포사3개소 ~ 궁포사2개소,내포사

 

 

 

   1.성곽

 

1) 거주주체에 따른 분류

  .  도성,왕성,황성,행재성,읍성,창성,진,보,로 분류된다

  .  도성-왕이 평시거처하는 궁성을 포함하여 행정의 중심지에 내곽인 궁성과

             외곽인 나곽을 갖춘형태를 말한다.즉 종묘와 사직이 있으면 도성이고

             종묘,사직이 없으면 읍성이다.

 .  궁성-궁성은 왕이 거처하며 통치하는곳에 궁궐과 관청건물을 축조한다

            이를 중심으로 궁궐및 행정관청을 두루갖춘 도성내의 도성이 궁성

 .  왕성-왕이거처하는성이며,황성은 황제가 거처하는 곳이다.

 2) 지형에 의한분류

  가) 산성

      (1) 산정식 산성(퇴뫼식산성)

          . 산의 정상을 중심으로 축조한성(7~8부 능선)

      (2) 포곡식 산성

         . 산성내에 계곡이 포함된 산성

      (3) 복합식 산성

        . 산성내 산정과 계곡을 공유한 경우이다.

  나)  평지성

        . 평탄지에 축조된 성~백제풍납토성,고려시대 청주읍성,조선시대 언양

          경주,읍성 등이 있다.

  다) 평산성

       . 구릉지+평탄지를 포함하여 축조된성

       . 수원화성은 평산성(군사적+상업적기능)이다

       . 해미읍성

3) 지리적 위치에 의한 분류

   가)국경성-세종때 4군6진등

   나)해안성-해안으로 침입하는 왜적에 대비하기위해 축조된성

   다)강안성-바다나 강을 이용하여 설치

   라)내륙성-남한산성,북한산성등과 같이 내륙에 죽조된성

 

 4)축성재료에 의한 분류

  가)목책성-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간헐적으로 사용

  나) 토성-판축법,으로 다져 쌓거나,경사지를 깍아만든 삭토법등

  다) 석성

    . 편축법 : 외부는돌 내부는 흙

    . 협축법 : 내,외부를 모두 돌로 쌓는 방법

  라) 전축성

   . 벽돌로 쌓는 성곽으로 한국에는 흔치않지만 중국에는 사례가 많다.

   .화성은 성벽은 벽돌로 쌓고 여장등 부속시설들을 벽돌을 사용함.

 

2. 성곽의 부속시설들

 

 1)성문의 종류-정문,암문,수문 등

 

 2)성문의 구성

    . 육축,개구부(개거식,평거식,홍예식,현문식),문비,문루 등

 

개거식 성문

 

 

평거식

 

현문식

 

 

홍예식

 

 

 

 

 

 

암문사례

 

 

 

 3)성벽부대시설

 

  . 여장-평여장,철여장,반원형여장,

 

여장에는 근총안과 원총안이 있다

 

 

평여장, 철 여장, 반원형여장

 

 

 

 

 

 

 

  .  (성벽일부 돌출)- 포루,각루,공심돈,포사 등, 미석, 사혈(타,타구,포혈,전안)

 

 

 

 

  . 적대~성문 좌,우에 설치하는 치

 

적대및 현안 실례

 

 . 해자

해자는 자연해자와 인공해자가 있다.

 

 

 4) 성문보호시설

 

 . 옹성(반원형,원형,사각형,특수형 등),적대(성문좌우에 설치한 치),현안

 

 

 

  

 5) 성벽시설-체성,여장

      . 성벽은 단경사(단일경사)형,규(홀)형,궁형,유단 경사형, 등이있으며 아래와같다

 

체성 단면도

 

규형 성벽

 

단경사(단일경사)형

 

성벽의 단면도~규형,궁형

 

유단 경사형~1단

 

 

3)기타 암문,수문,현안,각루,용도,장대,봉수대등

 

 

 

 

 

 각건대(동북포루)

 

 낙남헌

 

 남측 포루

 

 동2 "치"                   '

 동2포루

 

 

 

 동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동북노대

 

 동북포루

 

 동북포루

 

 동 1치

 

 동 1포루

 

 동 포루

 

 

방화수류정 해설

 

 방화수류정

 

 방화수류정

 

 방화수류정

 

 방화수류정

 

 방화수류정

 

 포루

 

 북서포루

 

 북측 암문

 

 

 서측 치1

 

 

 서남각루

 

 서북각루

 

 

 

 

 


 

 서북공심돈

 

 

 서장대

 

 

봉돈

 

궁터

 

 서남각루(화양루)

 

 

 

 

 서포루대1

 

 성벽

 

 연무대

 

 

 

 

 장안문(북문)

 

 장안문(북문)

 

동문

 

 

 

 창룡문(동문)

용두

 

 

 

 

 

  팔달문(보물402호)

 

팔달문은 화성의 정문으로 숭례문과 유사한격식,형태,숭례문에 없는 옹성이나

오성지(우물)같은 독특한 시설이 있다.

 1.팔달문의 건축개요

 

. 평면형태:정면5칸,측면2칸의 다포식건물로 우진각지붕이다

. 입면형태:중층건물

. 구조형식:숭레문은 네모서리 기둥이 하층부터 상층까지 있으나

                팔달문은 모서리에서 45도 방향의 귀잡이보위에 상층 우주를

                세웠다(법주사 팔상전같은 17C이후에 중층건물에서 쓰이는 수법

               이다)

. 공포양식:팔달문하층은 외2출목,내3출목이나 숭례문은 하층 내외2출목,상층은

                외3출목,내2출목이다

 

 

 

 

 

 

 

 

 

 

 

 

 

 

 

 

 

 

 

 

      도면들...

 

 

 

 

 평면도

정면5칸 측면2칸 18C다포계 중층 우진각지붕

정면에는 "철"형여장,3면에는 평여장이 설치되었다,또 좌우측에는 적대설치

 

 상층평면도

 

 

 

 

 

 

 

 

 좌우측엔 적대,정면에는 옹성이있고 옹성중간에는 홍예문인 성문이 있다

 

내부투시도

 

종단도

 

 

 

 

 

 

 

 

 

 

 

 

   화서문(서문) 보물403호

 

 

 

화서문 내측